이전 포스팅에서 좋은 기업을 고르기 위해서는
크게 기업의 능력과 그 기업의 주력상품, 그리고 제무재표 이 3가지를 꼭 알아야한다고 했습니다
재무제표는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로 이루어지는데
오늘은 먼저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습니다^^
1. 손익계산서 보려면 어디서 봐야 하나요?
네이버: 네이버 메인에서 증권 → 원하는 기업 검색 → 기업분석 → 재무분석 → 손익계산서로 찾아가시면 됩니다.
팍스넷: 팍스넷 메인에서 원하는 기업 검색 → 재무/사업 → 손익계산서
Hts (키움 영웅문): 위의 그림처럼 호가창 옆의 글자들 중에 맨 마지막 "기"로 들어가셔서 기업분석의 재무제표로 가시면 됩니다.
이제 손익 계산서 찾기는 끝났네요^^
2. 손익계산서의 핵심 영업이익
손익계산서란 1년, 반기, 분기로 구분해서 일정 기간동안 기업이 거둔 성과, 즉 기업의 이익을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 손익 계산서에서 제일 중요하게 볼 지표가 바로 영업이익입니다
한마디로 영업이익은
영업이익 = 매출액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항상 이 영업이익이 흑자인지를 먼저 확인해야합니다.
영업이익의 흑자/적자 확인도 중요하지만 추세 파악도 중요합니다. 즉 증가 추세인지 감소 추세 인지 말입니다
이런 추세는 그래프를 보시면 잘 아실 수 있겠습니다
그럼 디에이피라는 회사의 손익계산서를 네이버에서 한번 볼까요?
그리고 당부의 말씀 한가지!!
저와 함께 지금 손익계산서 보는 것은 지극히 기초적인 것이고 더 자세하게 파고 들어가야한다는 것을 아셔야됩니다.
일단은 기본적으로 이 회사가 당장 망할 회사는 아니겠구나 내지는 괜찮은 회사네 정도 알 수 있는 정도라는 것을 명심하셨으면 합니다. 더 심도 있는 공부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각각 연간과 분기 그래프를 보시면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그래프 보이시죠?
그런데 영업이익은 그닥 알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이번엔 표를 볼까요? 그냥 연간만 보겠습니다^^
어떻게 보이십니까? 영업이익이 들쭉 날쭉하다가 작년에 증가하는게 보입니다.
매출은 계속 증가하는데 영업이익이 많이 줄어들었든 년도가 있죠?
그 원인도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다 알아봐야 하는데...
그건 나중에 더 심도있게 저랑 같이 공부해보죠 ㅎ
일반적으로 단가인하나 원재료 원가의 상승, 또는 새로운 제품 생산으로 인한 불량이 많이 나와서 일 수도 있습니다.
디에이피는 핸드폰 PCB만을 전문적으로 만드는 회사입니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증가하다 보니 당연히 매출도 늘고 그에 따라 영업이익도 증가 하는게 보입니다^^
그래서 이 간편 손익계산서를 통해서 당장 망할 회사는 아니다라는걸 알 수 있죠 ㅎ
다음 포스팅에서는 디에피의 대차대조표를 보면서 공부를 하겠습니다^^
3. 영업이익과 순이익의 차이점
이 질문을 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저도 정리해봅니다.
영업이익은 위에서 언급하였고
순이익이란 영업이익에서 기업 본연의 활동 이외의 수익과 손실, 그리고 세금이나 이자비용 등을 포함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수익이나 주식 손실 이런 것들은 기업 본연의 활동 이외의 것으로
영업이익에는 포함되지 않고 순이익에 포함되죠.
다시말해 순이익은 한 사업체의 최종적인 수익입니다
'커뮤니티게시판 >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목을 고르는 기준 (0) | 2014.04.12 |
---|---|
초보분들을 위한 팁 (0) | 2014.04.12 |
재테크 어떻게하는걸까? (0) | 2014.04.12 |
기법보다 중요한 매매의 제1원칙 (2부) (0) | 2014.04.12 |
기법보다 중요한 매매의 제1원칙 (0) | 2014.04.12 |